본문 바로가기
IT인터넷모바일제품

SSD의 장점과 단점

by bluemarmaris 2021. 9. 25.

 

요즘 PC나 노트북을 구매할 때 대부분 저장장치로 하드디스크를 쓰는 업체가 많이 없어졌습니다. 바로 SSD가 나오면서부터인데요. 아직까지 SSD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잘 모르는 분들이 많아서 SSD에 대해서 자세히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SSD란?

 

좌 HDD 우 SSD

 

 

SSD는 Solid State Drive의 약자입니다. 그대로 직역하면 고형 상태 보조기억장치라는 뜻입니다. SSD는 기억장치는 맞지만 기존의 하드디스크와 완전히 다릅니다.

 

하드디스크 때에는 자기 디스크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SSD에서는 플래시 메모리로 구성됩니다. SSD가 나타나면서 기존의 하드디스크를 대체하게 되었는데 LED가 나오면서 LCD가 없어지는 것과 비슷하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SSD의 장점

 

삼성 기업용 SSD

 

SSD의 장점 1: 빠른 속도

파일 전송속도가 HDD보다 훨씬 빠르고 읽고 쓰는 시간도 훨씬 빨라서 SSD가 장착된 컴퓨터가 부팅되는시간과 하드디스크가 장착된 컴퓨터의 부팅시간과 현격한 차이를 보여줍니다. 

 

SSD의 장점 2 : 소모전력 

하드디스크는 항상 모터가 구동되어야 하다보니까 전력 소모가 많았지만, SSD의 경우에는 모터가 필요 없어서 소모전력이 줄어듭니다. 핸드폰이나 노트북같이 배터리를 연결하는 제품에 특히 SSD가 전력을 감소시켜줍니다.

 

 

SSD의 장점 3 : 저소음

소음이 없습니다. 구동부가 없기 때문입니다. 모터 돌아가는 소모도 안나니 저소음제품에 반드시 SSD가 들어갑니다.

 

SSD의 장점 4 : 자기장으로부터 안전

예전에는 강력한 자기장이 쏘이게 되면 기존의 컴퓨터 하드디스크가 망가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자기를 정렬하는 원리로 기록하는 것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플래시 메모리 원리로 기록하기에 웬만한 자성으로는 크게 데이터가 망가지지 않습니다. 

 

SSD의 장점 5 : 경량화

SSD는 하드디스크보다 훨씬 작고 가볍습니다. 그래서 최근에 나오는 소형가전제품, 웨어러블기기, 노트북에는 대부분 SSD가 장착되어서 나오게 됩니다. USB도 SSD로 나오고 있습니다. 

 

 

SSD의 단점

 

SSD의 단점 1 : 비싼 가격

SSD는 하드디스크보다 여전히 많이 비쌉니다. 최근에는 SSD가 많이 개발되면서 가격도 조금씩 다운되어가는 추세이지만 너무 많이 비싸서 일반인들에게 보급되기까지는 상당히 오래 걸렸습니다. 

 

SSD의 단점 2 : 용량부족

용량이 얼마 안 됩니다. 그 이유는 앞서 말한 비싸기 때문과도 상통합니다. 하드디스크로 1TB를 보는 건 쉽지만 SSD의 경우에는 1TB를 장착한 컴퓨터를 거의 찾아볼 수 없습니다. 보통 그래서 SSD를 쓰면서 하드디스 크롤 외장하드로 이용하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SSD의 단점 3 : 데이터 소실

SSD의 경우는 플래시 메모리 저장장치로서 전력이 몇 년간 공급되지 않으면 해당 제품안에 있는 데이터가 유실됩니다. 그 이유는 낸드플래시는 휘발성 메모리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SSD에 있는 데이터를 하드디스크에 이중 보관해놓는 것이 좋습니다.

 

SSD의 전망

 

SSD는 여전히 가격이 비싸고 저장용량은 HDD보다는 적습니다. 그러나 최근 몇년간 SSD가 보편화되면서 대부분의 가정용 업무용 PC에도 SSD 컴퓨터로 대체되었습니다.

 

게다가 앞서 말한 저전력이라든가, 발열 문제, 충격이나 자성에 강한 문제들 때문에 군사장비라든가,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에 SSD는 더더욱 많이 필요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IT인터넷모바일제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 유통구조와 최근의 변화트렌드  (0) 2021.09.26
eMCP란 eMMC와의 차이는?  (0) 2021.09.25
eMMC란 무엇일까?  (0) 2021.09.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