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UFS, eMMC, eMCP, ePOP, LPDDR 용어 정리

by bluemarmaris 2021. 11. 2.

UFS, eMMC, eMCP, ePOP, LPDDR 뭐 이런 용어들을 듣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이 정확하게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구분하기란 정말 쉽지 않습니다.

 

 특히 종종 핸드폰에 조금 관심 있는 분들은 UFS가 버전이 몇이니 하는 얘기를 스펙 사양에서 보지만 다들 지나쳐버리고는 하죠. 지금 앞서 살펴본 용어들은 모두 임베디드 스토리지(embedded storage)라는 기억장치 반도체입니다. 하나씩 종류별로 살펴보고 설명드리겠습니다. 

 

Embedded Storage란?

 

 

임베디드 스토리지는 마더보드에 추가로 넣는 게 아닌 콘셉 단계부터 설계됩니다. 교체가 어렵고 전문기술을 필요로 하는 저장장치입니다. 산업의 다양한 분야에서 임베디드 메모리가 사용되는데 종류를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Embedded Storage 종류

 

1. eMMC

Embedded Multi Media Card의 약자가 eMMC입니다. 주로 저가나 저사양의 테블릿, 스마트폰, 각종  스마트기기의 메모리로 들어가고 있습니다. 

 

가격이 일단 싸고, 구조나 핀배열이 복잡하지 않고, 버전 간 호환성이 높습니다. eMMC의 읽고 쓰는 능력은 5.1버전에서는 읽는 능력 초당 250MB, 쓰는 능력은 125MB 수준입니다. 향후 UFS가 eMMC를 대체한다는 말도 많이 있지만 아직까지는 고가이기에 eMMC가 활용되는 곳은 많습니다.

 

2. eMCP

eMMC는 낸드 + 컨트롤러라면 eMCP는 SSD + 컨트롤러 입니다. eMCP는 eMMC와 거의 비슷합니다. 미래에는 UFS에 밀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3. UFS

eMMC보다 더 뛰어난 성능을 가진 플래시 메모리입니다. 삼성전자의 주요 플래그십 스마트폰에는 UFS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메모리를 읽는 능력과 쓰는 능력이 현저하게 빠르며 전력 소모도 더 적습니다. 현재 나온 3.1 버전에서는 초당 읽는 능력은 2.1GB, 쓰는 능력은 1.2GB 수준입니다. 

 

대신 성능대비 가격이 워낙 비쌉니다. 그래서 중저가 핸드폰에는 UFS 대신에 eMMC가 들어가고 있습니다. PC에서는 UFS대신에 NVme를 쓰는 것이 더 나은데 가격도 가격이지만, PC나 노트북의 경우 전력 소모가 더 나도 되고 공간을 충분히 차지해도 괜찮기 때문입니다.

 

4. ePoP

이팝이라고도 불리는 ePoP는 eMCP를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한 버전입니다. 모바일 AP + 낸드플래시 + DRAM을 하나로 결합한 반도체로서 면적이 50% 이상 줄어들며 소비전력이 줄고, 성능이 좋아졌습니다. 

 

5. LPDDR

우리가 소위 말하는 RAM입니다. Random Access Memory의 준말이죠. 사용자가 읽고 쓰고 지울 수 있는 기억장치인데 연산을 하는 동안의 데이터가 잠시 쓰이기에, RAM이 높을수록 많은 작업을 한꺼번에 할 수 있습니다. 

 

전원이 꺼지면 바로 데이터가 지워지는 휘발성 메모리가 대다수입니다. 현재 LPDDR5까지 나왔으며 여전히 현장에서는 LPDDR3을 4로 업그레이드하는 추세입니다. 전력 소모는 세대가 높아질수록 줄어들고, 연산할 수 있는 용량이 커지며 동작속도는 빨라지고 있습니다.

 

결론

 

같은 임베디드 스토리지라고 하더라도 정말 다양한 종류들이 있고 제품군들이 있습니다. 이 제품군들의 특성들을 이해하고 나면, 향후에 반도체를 다루는 일을 할 때 큰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