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의 제원과 구성 자동차 제원 (1) 치수 정의 1) 전장(Overall Length, 0.A.L.) ① 앞쪽 끝에서 뒤쪽 끝까지의 전 길이이다. ② 범퍼, 미둥까지 포함한다. 2) 전폭 (Overall Width, O.A.W.) ① 자동차의 중심면에서 직각으로 측정하는 최대폭이다. ② 백미러는 제외된다. 3) 전고 (Overall Height, 0.A.H) ① 접지면에서 자동차의 최고부까지의 높이이다. ② 타이어는 허용하중에 따른 최대공기압 상태에서 측정한다. ③ 안테나는 가장 낮은 상태이다. 4) 축거 (Wheel Base, W.B.) ① 전, 후 차축 사이의 중심거리이다. ② 3축인 경우 ③ 제1축거 : 전축과 중간축 사이의 거리이다. ④ 제2축거 : 중간축과 후축 사이의 거리이다. 5) 윤거 (Tread) ① 좌우.. 2022. 3. 15.
자동차의 분류 방법 구동방식 바디 관리법 별 1. 관리법에 의한 분류 자동차 관리법규'에 의하여 자동차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1) 승용자동차 6인 이하의 사람(2001년부터 10인 이하)을 운송하는 자동차, 중형이상의 일반형은 9인까지 운송하는 자동차를 포함한다. (예 : 리무진) 2) 승합자동차 7인 이상의 사람을(2001년부터 11인 이상) 운송하는 자동차, 내부 특수설비를 갖춘 것은 승차정원에 관계없이 포함한다. 또한 경형 자동차로서 승차인원이 16인 이하인 전방조종 자동차 3) 화물자동차 화물을 운반하기에 적합한 자동차. 4) 특수자동차 다른 자동차를 견인하거나 구난작업 또는 특수한 작업을 수행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자동차 5) 이륜자동차 1인 또는 2인의 사람을 우송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2륜 자동차(2륜인 자동차에 1륜의 측차를 붙인.. 2022. 3. 15.
자동차의 역사와 미래 풍력자동차 부터 수소차까지 자동차란? 관련된 법규에 따른 자동차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자동차」라 함은 원동기에 의하여 육상에서 이동할 목적으로 제작한 용구 또는 이에 견인되어 육상을 이동할 목적으로 제작한 용구를 말한다.(자동차 관리법 제2조 제1회) 「자동차」라 함은 철길 또는 가설된 선에 의하지 아니하고 원동기를 사용하여 운전되는 차(견인되는 자동차도 자동차의 일부로 본다)를 말한다.(도로교통법 제2조 제14회) 자동차 발달사 인류는 오래전부터 무거운 짐을 운반하기 위하여 굴림대를 사용하거나, 바퀴를 이용한 수레를 사용하여 왔다. 자동차에 대한 발달사를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세계의 자동차 역사 ① 15세기 : 이탈리아의 발 투리오(Roberto Valturio)가 풍차를 이용한 풍력 자동차 제작 ② 15세기 : 이탈리아.. 2022. 3.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