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용 DRAM이란?
일단 DRAM이라는 것이 무엇인지부터 살펴보는 게 우선일 듯싶습니다. DRAM이라는 것은 전력공급이 끊기면 데이터가 날아가는 휘발성 메모리 반도체입니다.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의 준말인데 이것만 보고서 어떤 일을 하는지 이해하기는 어렵습니다.
휘발성 메모리 반도체인 DRAM을 더 쉽게 설명해보자면, 일종의 작업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장장치인 SSD나 HDD에서 구동하고 싶은 프로그램들을 꺼내와서 DRAM이라는 작업대에 펼쳐놓고 일을 하는 것입니다..
DRAM 용량이. 물론 그만큼 작업자인 CPU도 함께 따라와 줘야 하는 일입니다.
만약에 작업을 하다가 중간에 전원이 꺼지면 작업대가 엎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시 처음부터 임시 저장되지 않습니다.
서버용 DRAM이란?
우리의 일반 PC나 스마트폰, 노트북에도 DRAM이 들어가지만, 아주 많은 수요가 필요한 곳은 서버입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데이터센터를 통해 음악이나 동영상을 스트리밍 하고,, 최근에는 게임까지 즐기고 있기 때문입니다.
데이터센터 한 군데에서 필요한 DRAM은 평균적으로 2천만GB 이상입니다. 게다가 처리해야 할 용량은 늘어나면 늘어났지 줄어들지 않고 있습니다,
서버용 DRAM의 수요 전망은?
2010년도 초반부터 2021년 현재까지 서버용 DRAM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해왔습니다. 꾸준히 조금씩 증가한 것도 아니고 폭발적인 증가였습니다.
그리고 이 폭발적인 수요를 감당할 수 있었던 DRAMDRAM 제조 업체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마이크론 정도입니다. 삼성전자는 전 세계 DRAMDRAM 시장에서 42%42% 이상을 차지했고, SK하이닉스도 29%를 차지했습니다. 전 세계 서버용 DRAM시장에서 71%를 대한민국 기업 2개가 양분해서 나누어 먹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나머지 25%는 미국의 마이크론이 차지했고 나머지 3%는 대만의 남야 테크놀로지가 서버 수요를 가져갔습니다.
또한 수요는 많은데 공급이 그렇게 많지 않으니 꾸준히 DRAMDRAM 가격은 비싼 가격과 높은 마진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주요 밥줄이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영원할까요?
영원한 것이야 없겠지만 당분간은 데이터센터의 수요 급증은 계속될 것을 보입니다. 전 세계의 스마트폰 사용인구가 늘어남에 따라서 서버 수요가 급증했던 것처럼 그다음으로 세상을 바꿀 것은 인공지능 자동차입니다.
모든 자동차들이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주행정보와 관련된 영상 데이터 들을 처리하기 시작하면 이 데이터들을 감당할 서버 또한 더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중국의 DRAM 도전 서버 시장에서도??
중국이 반도체 굴기를 시작한 몇 년 된 것 같습니다. 중국의 가장 거대한 반도체 기업인 창신 메모리 테크놀로지는DRAM 8GB DDR4램과 LPDDR4를 양산해 판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연간 1212만 개 양산을 목표로 뛰어들었는데, 중국은 아직까지 DRAM을 대량 생산할 기술력은 못 따라오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 이유는 미국의 견제 때문입니다. 중국이 미국의 마이크론사를 인수하려고 했을 때 이를 저지한 것도 미국이었고 대만의 파운드리 회사인UMC와 함께 DRAMDRAM 생산을 하려고 했을 때도 기술탈취 문제로 걸고넘어졌습니다..
여러모로 난관을 겪고 있지만,, 언젠가 중국이 자본력을 바탕으로 DRAMDRAM 시장에서도 스스로 자립하게 된다면 중국 내 서버 시장부터 우선 잠식을 한 이후에 다른 세계시장에서도 저가 공세를 하지 않으리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eMCP와 ePop의 장단점
eMCP나 ePOP에 대해서 들어봤지만 정작 해당 개념에 대해서는 알기 쉽지가 않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eMCP와 ePOP에 대해서 정리해봤습니다. eMCP란? eMCP의 정의 eMCP란 Embedded Multi Chip Package의 약자로서..
consumerguide.tistory.com
'IT인터넷모바일제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개발 시장상황 (0) | 2021.11.10 |
---|---|
UFS란? 장단점과 종류 (0) | 2021.11.05 |
eMCP와 ePop의 장단점 (0) | 2021.1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