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란?
관련된 법규에 따른 자동차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자동차」라 함은 원동기에 의하여 육상에서 이동할 목적으로 제작한 용구 또는 이에 견인되어 육상을 이동할 목적으로 제작한 용구를 말한다.(자동차 관리법 제2조 제1회)
「자동차」라 함은 철길 또는 가설된 선에 의하지 아니하고 원동기를 사용하여 운전되는 차(견인되는 자동차도 자동차의 일부로 본다)를 말한다.(도로교통법 제2조 제14회)
자동차 발달사
인류는 오래전부터 무거운 짐을 운반하기 위하여 굴림대를 사용하거나, 바퀴를 이용한 수레를 사용하여 왔다. 자동차에 대한 발달사를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세계의 자동차 역사
① 15세기 : 이탈리아의 발 투리오(Roberto Valturio)가 풍차를 이용한 풍력 자동차 제작
② 15세기 : 이탈리아의 다빈치(Reonardo Da Vinci)가 나선 스프링을 이용한 자동차 고안
③ 1770년 : 프랑스의 퀴뇨(N.J. Cugnot, 프랑스)가 중기 기관으로 전륜구동 3륜 차 제작
④ 1876년 : 독일의 오토(N. Otto)가 4사이클 기관 완성
⑤ 1885년 : 독일의 다임러(G Diamler)가 가솔린 기관으로 2륜차 제작
⑤ 1896년 : 독일의 벤츠(Karl lkmz)가 2사이클 가솔린기관으로 3륜 차 제작
⑦ 1896년 : 독일의 다이블러(G Diamler)가 가솔린 기관으로 세계 최초의 4륜 자동차 제작제작
⑧ 1833년 : 독일의 디젤(Rudolf Diescl)이 디젤기관 발명
⑨ 1908년 : 포드자동차에서 컨베이가 시스템 도입하여 '포드 T형' 대량생산
⑩ 1911년 : 전기식 스타터 모터 직용
⑪ 1931년 : 파워 브레이크 적용
⑫ 1934년 : 독립현가장치를 전륜에 적용
⑬ 1940년 : 자동변속기 적용
⑭ 1951년 : 동력 조향장치 적용
대한민국의 자동차 역사
① 1903년 : 고종 즉위 40주년 기념식에 미국 공사를 통하여 어용 승용차 1대(포드) 도입
② 1913년 : 순종이 캐딜락 1912년형 리무진 1대 도입
③ 1954년 : 하종환 자동차 제작소에서 우리 손으로 최초의 버스 제작
④ 1955년 : 국제 차량 제작의 최무성 씨가 국산 엔진을 장착한 최초의 국산차 '시발(3R)'을 만들어 '해방 10주년 기념 산업박람회'에서 대통령상 수상
⑤ 1962년 : 기아산업이 우리나라 최초의 화물 삼륜차 'K-360', 'T-600, 생산
⑥ 1962년 : 새나라자동차가 근대적인 생산라인에 의해 '새나라숭용차' 생산
⑦ 1966년 : 신진자동차에서 '코로나' 생산
⑧ 1968년 : 신진자동차에서 국민차 '신진 퍼블리카' 생산
⑨ 1968년 : 현대자동차에서 '코티나' 생산
⑩ 1969년 : 현대지 차에서 고급차 '포드 20M' 생산
⑪ 1969년 : 신진자동차에서 국내 첫 4WD인 '신진 Jeep' 생산
⑫ 1974년 : 기아산업에서 국민차 '브리사' 생산
⑬ 1975년 : 현대자동차에서 고유모델인 '포니' 생산
미래의 자동차
2022년 현재 내연기관 자동차를 밀어내고 이제는 전기차 시대로 바뀌어가고 있다. 이미 모든 자동차 메이커들이 내연기관 자동차 시대의 종식을 선언했고 국내를 대표하는 자동차 메이커인 현대와 기아에서도 아이오닉과 EV6를 성공리에 출시하고 있다.
기존에는 내연기관 플랫폼을 그대로 쓰며 전기차 버전을 만들었던 반면에 최근에는 테슬라의 영향을 받아 전기차 전용 플랫폼의 전기차가 대세가 되고 있다.
전기차 전용 플랫폼의 경우는 내연기관차와 초기 설계부터 다른 조건으로서 전기차로서 최적의 설계를 통해 더 넓은 실내공간과 배터리 용량 주행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주행거리와 충전 속도 및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설들이 하나씩 해결되어가며 점점 더 대중화되어가고 있는 추세다.
수소 전기자동차는 전기차의 배터리 성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실험적인 자동차이다. 전기자동차의 최대 약점은 주행 가능 거리와 충전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장거리를 움직여야 하는 화물차나 버스의 경우에는 전기차의 경우 많은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수소자동차는 수소를 물로 바꾸며 산소와 전기를 얻는 방식인데 해당 전기가 자동차의 동력원이 된다.
먼 주행거리가 가능하지만 여전히 충전 인프라의 부족과 비싼 수소의 가격 한계를 가지고 있다. 현재 현대는 넥쏘라는 수소차를 도요타는 미라이라는 수소 자동차를 시판하고 있다.
아직까지 전기차와 수소차 중 어떤 자동차가 대세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큰 출력을 필요로 하고 장거리 이동이 필요한 차량은 수소차로, 일반적인 승용차로는 전기차가 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자동차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예방정비와 고장정비 왜 미리 하는게 좋은가? (0) | 2022.03.18 |
---|---|
자동차의 제원과 구성 (0) | 2022.03.15 |
자동차의 분류 방법 구동방식 바디 관리법 별 (0) | 2022.03.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