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제원
(1) 치수 정의

1) 전장(Overall Length, 0.A.L.)
① 앞쪽 끝에서 뒤쪽 끝까지의 전 길이이다.
② 범퍼, 미둥까지 포함한다.
2) 전폭 (Overall Width, O.A.W.)
① 자동차의 중심면에서 직각으로 측정하는 최대폭이다.
② 백미러는 제외된다.
3) 전고 (Overall Height, 0.A.H)
① 접지면에서 자동차의 최고부까지의 높이이다.
② 타이어는 허용하중에 따른 최대공기압 상태에서 측정한다.
③ 안테나는 가장 낮은 상태이다.
4) 축거 (Wheel Base, W.B.)
① 전, 후 차축 사이의 중심거리이다.
② 3축인 경우
③ 제1축거 : 전축과 중간축 사이의 거리이다.
④ 제2축거 : 중간축과 후축 사이의 거리이다.
5) 윤거 (Tread)
① 좌우 타이어의 중심거리이다.
② 복륜인 경우는 복륜 타이어의 중심에서의 거리이다.
③ 윤거가 변하는 독립현가식인 경우는 차량을 총중량상태에서 측정한다.
6) 최저지상고 (Ground Clearance)
① 총중량상태에서 측정한다.
② 노면에서 자동차 최저부까지의 높이이다.
③ 타이어 접지부분과 브레이크 드럼의 아랫부분은 측정에서 제외한다.
7) 프런트 오버행(Front Overhang, F.O.H.)
앞차축 중심에서 부속물(범퍼, 혹 등)을 포함한 자동차의 앞부분 끝까지의 길이이다.
8) 리어 오버행(Rear Overhang, R.O.H)
뒷차축 중심에서 부속물을 포함한 자동차의 뒷부분 끝까지의 길이이다.
9) 리어 보디 옵셋(Rear Body Offset, 하대 옵셋)
후차축의 중심과 리어 보디의 중심까지의 길이이다.
(2) 중량 정의
1) 차량중량 (Unloaded Vehicle Weight, Kerb Weight)
① 자동차 공차상태에서의 중량, 즉 공차중량이다.
② 인료, 냉각수 및 윤황유를 만재하고 에비타이이를 설치하이 운행할 수 있는 상태로 측정한다.
③ 운전사, 승객, 에비 부품 및 공구, 기타 휴대물품은 제외한다.
2) 최대적재량 (Maximun Loading Capacity, Payload)
법규상 허용되는 최대의 적재량이다.
3) 차량총중량 (Gross Vehicle Weight, G.V.W.)
① 최대적재상태에서의 차량중량이다.
② 공차상태에서 승차정원, 최대적재량의 화물을 균등하게 적재한 상태로 측정한다.
③ 승차정원 1인당 몸무게는 65kg이다.
4) 스프링 위질량 (Sprung Mass)
새시 스프링의 윗부분 질량이다.
5) 스프링 아래질량 (UnSprung Mass)
① 섀시 스프링의 아래부분 질량이다.
② 앞, 뒤차축에 고정된 부분의 질랑을 나타낸다.
③ 섀시 스프링과 속업소버의 질량은 반으로 나누어 스프링 위질량과 스프링 아래질량
에 각각 더해준다.
(3) 성능 정의
1) 최고속도 (Maximum Speed)
① 차량총중량 상태로 측정한다.
② 평탄로를 주행할 때의 최고속도이다.
2) 연료소비율 (Fuel Consumption Rate)
① 차량총중량 상태로 측정한다.
② 연료의 단위 용량당 주행할 수 있는 거리이다.(단위 : km/0)
3) 등판능력 (Hill Climbing Capacity)
① 차량총중량 상태로 측정한다.
② 번속 제1단으로 올라갈 수 있는 최대경사각으로, tan 0(% 또는 도) 또는 sin 0로
표기한다.
4) 제동거리 (Braking Distance)
① 차량총중량 상태로 측정한다.
② 국내 법규의 경우 제동 거리시험방법에 제작 자동차와 운행자동차로 구분되어 있고 제작자동차의 경우 제동초속도 50km/h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완전히 정지할 때 까지의 거리로서 20m이내이다.
5) 최소회전반경
① 핸들을 최대로 돌린 상태에서 저속으로 회전한다.
② 선회중심과 최외측 타이어의 중심이 그리는 궤적의 반경이다.
6) 최대안전경사각
① 공차중량 상태로 측정한다.
② 왼쪽 혹은 오른쪽으로 경사져 있을 때 모든 타이어가 접지면에 접지할 수 있는 최대 경사각이다.
자동차 구성
자동차는 보디와 새시로 크게 구성된다.
(1) 섀시(Chassis)
섀시는 보디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말하며, 자동차의 기초가 되는 주요한 부분으로서 주행의 원동력이 되는 기관을 비롯하여 동력발생장치, 동력전달장치, 현가장치, 조향장치, 제동장치, 주행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1) 동력발생장치 (Power Plant)
자동차를 주행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가솔린 엔진, 디젤 엔진 등의 내언기관이 사용된다.
2) 동력전달장치 (Power Train)
엔진에서 발생한 농력을 주행상태에 알맞도록 변환시키 구동휠에 전달하는 장치이다.
3) 현가장치 (Suspension System)
노면에서의 충격과 진동을 완화하여 보디, 엔진 그리고 운전자와 승객에게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4) 조향장치 (Steering System)
자동차의 주행방향을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바꾸거나, 직진 주행상태를 유지 시켜주는 장치이다.
5) 제동장치 (Brake System)
주행중인 자동차를 감속 또는 정지시키거나 정차중인 자동차의 정지상태를 계속 유지시켜주는 장치이다.
6) 휠과 타이어 (Wheel And Tire)
자동차의 중량을 지지하고, 구동 및 제동시 발생하는 구동력과 제동력을 전달하며, 승차감을 좋게 하고, 조향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2) 보디(Body)
보디는 사람을 태우거나 화물을 적재하거나 새시를 지지하여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자동차의 프레임, 외형을 구성하고 있는 부분, 차실, 엔진룸, 트렁크룸 등으로 구성된다.
(3) 기 타
이상의 장치 이외의 것으로 자동차의 운전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하기 위한 장치들이 있으며, 계기류, 등화류, 표시기 등이 있다.
'자동차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예방정비와 고장정비 왜 미리 하는게 좋은가? (0) | 2022.03.18 |
---|---|
자동차의 분류 방법 구동방식 바디 관리법 별 (0) | 2022.03.15 |
자동차의 역사와 미래 풍력자동차 부터 수소차까지 (0) | 2022.03.15 |
댓글